달성배씨(達城裵氏) : 시조 : 배운용(裵雲龍)
달성배씨는 고려 개국일등원훈에 서훈된 현경의 현손 사혁의 세째 아들 운룡을 1세조로 하고 있다.
[달성배씨족보]에 의하면 그는 고려때 벼슬을 지내고 나라에 공을 세워 달성군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달성을 본관으로 삼았다.
가문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고려조에서 평장사를 역임한 아들 숙과 증손 문진이 유명했으며, 현손 손적은 충렬왕 때 무장으로 공을 세워 대호군에 추증되었다.
밀직부사 정지는 1318년(충숙왕 5) 탐라에서 김성의 모반사건이 일어나자 존무사가 되어 이를 평정하고 돌아와 상호군에 특진되었으며, 아들 성경, 천경, 함경 3형제가 뛰어났다.
그중 둘째 아들 천경은 공민왕 때 단성강절공신이 되어 금자광록대부로 달성군에 봉해져 검교장군에 오른 함경과 함께 명성을 날렸다.
그외 직제학 문우와 상장군 을균이 이름났고, 예부상서 을서는 학자 경덕과 더불어 고려 말에서 가문을 빛냈다.
조선조에 와서는 세조 때 병조판서를 지낸 맹달이 정충출기적개공신으로 곤산군에 봉해졌으며, 을보는 직제학에 이르렀다.
한편 세조 때 문과에 급제한 사원은 대사간에 이르러 이시애의 난이 일어나자 맹달과 함께 출전하여 공을 세웠으며, 사종은 양지현감을 지내고 연산군의 폭정을 개탄하여 벼슬에서 물러났다.
선조 때 문과에 급제한 승무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장 김덕령, 김천일, 고종후 등과 함께 진양에서 왜구와 맞서 싸우다가 장렬하게 전사하여 숙종 때 훈련원 주부를 지낸 세강, 양산군수 익신, 예조좌랑 성유 등과 함께 가문을 빛냈다.
전남
무안군 청계면 청천리
전남 무안군 청계면 태봉리
전남 영암군
시종면 구산리

世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항렬자 |
한 윤 기 |
식 모 권 |
환 병 계 |
두 규 성 |
석 진 종 |
수 태 순 |
동 상 병 |
렬 묵 희 |
세 시 달 |
현 용 호 |
行列子 |
漢 潤 淇 |
植 模 權 |
煥 炳 啓 |
斗 奎 星 |
錫 鎭 鍾 |
洙 泰 淳 |
東 相 秉 |
烈 默 熙 |
世 時 達 |
鉉 鏞 鎬 |
世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항렬자 |
영 제 언 |
수 우 채 |
창 일 면 |
기 표 혁 |
장 금 기 |
해 호 홍 |
병 계 근 |
엽 섭 겸 |
성 재 기 |
흠 탁 전 |
원 홍 락 |
行列子 |
泳 濟 彦 |
秀 祐 綵 |
昌 日 冕 |
箕 表 赫 |
璋 錦 琦 |
海 浩 鴻 |
柄 桂 根 |
燁 燮 謙 |
聖 在 基 |
欽 鐸 銓 |
源 洪 洛 |
초동원 |
배정지 |
전남 나주 |
초동원 |
배을서 |
전남 나주 |
대곡사 |
배문우 |
전남 화순 |
경현사 |
배문우 |
전남 장성 |
경현사 |
배을서 |
전남 장성 |
수작사 |
배맹달 |
전남 장성 |
무열사 |
배을보 |
전남 나주 |
수림서원 |
배인경 |
경남 고성 |
출처 : 사종 / 화수회
글쓴이 : 배병국 원글보기
메모 :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십원 주화 (0) | 2006.12.24 |
---|---|
[스크랩] 오원 주화 (0) | 2006.12.24 |
[스크랩] 일원 주화 (0) | 2006.12.24 |
[스크랩] 달성 배씨(達城裵氏) (0) | 2006.11.14 |
[스크랩] 우리나라 화폐모음. (0) | 2006.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