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에 지내는 제사를 차례라고 한다,일반적으로 절사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의 명절중에는 차례를 가장 많이 지내는 명절은 설과 추석이다.
이밖에도 지역이나 가문에 따라서 사당이나 벽감이있는 집에서는 대보름날, 한식, 단오, 중양절, 동지등에 차례를 올리기도 한다. 그러나 지금은 차례라고하면 일반적으로 설에 지내는 연시제와 추석에 석묘를 겸한 제사를 말한다.
차례에 모셔지는 조상은 불천위와함께 4대 조상에 한한다.
원래 차례는 차를 울리는 절차를 내포한 중국 전래의 제례였다. 그러나 우리나라 관행의 차례에서는 차를 올리는 절차가 없다. 그러므로 이름은 차례이지만 보통의 제사처럼 제수를 장만하고 술을 올리며 제사 지내는 것이 관례이다.
민간에서는 차례. 즉 명절에 지내는 제사를 기제사및 묘사와 더불어 중요한 조상숭배 의례로 꼽고있다. 추석이나 설의 차례는 산업 사회화의 추세에 따라 외지에 나갔던 부계 친족들이 모두 모이고, 다양한 민속 놀이가 행해지기 때문에 오히려 더욱 강화되는 추세에 있다.
옛날 남부 지방에서는 설과 추석이 중요한 명절로 인식되어 이날 차례를 올리는것이 관례화 되어 있으나, 북부 지방에서는 추석의 차례가 유명무실한 편이였다.
그러나 현대에와서는 추석이 전국적인 명절로 확산되고 이날 차례를 지내는 풍습이 강화 되어 가고있다. 차례는 대부분의 지방에서 낮에 지내며 가까운 부계 친족끼리 모여서 지내되 종가에서부터 차례대로 지낸다.
제사의 절차는 지방과 가문마다 악간씩 차이를 보이나 무축단헌을 원칙으로하여 지내는 것이 보편적인 현상이다. 조상숭배의 실천윤리의 하나로 기제사가 사망한날을 추모하여 지내는 의례이고, 묘제가 4대조 이상의 조상의 묘를 찿아 추모하는 의례라면, 차례는 조상에게 달과 계절,해가 바뀌고 찿아옴을 알림과 동시에 시식과 절찬을 천신하는 의례이다.
차례의 절차가 무축단헌, 즉 축문을 읽지않고 술은 한잔만 올린다고하나 지방과 가문에 따라서는 다를수도 있으니 가통에 따라서 행한다. 차례의 제수를 차리는것은 다른 제사와 다를바 없으나 설에는 떡국을 올릴수 있고 추석에는 햇쌀로 송편을 빚어 햇과일과 함께 올린다. |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대 올림픽 메달 감상하세요, (0) | 2009.02.10 |
---|---|
새해인사말 (0) | 2009.01.23 |
예수님은 실존의 인물인가? (0) | 2009.01.11 |
휴대폰 밧데리 수명부활 (0) | 2008.09.01 |
정읍 연지동성당의 년역 (0) | 2008.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