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원리 (순응처리) 입니다
순응과 역행
순응형과 역행형과는 반드시 구분 되어야 하는 용어 입니다.
상기 용어를 5~6년전 처음 인터넷 사이트에 올려놓고 주변 분들 시선을
많이 의식 했었지만 지금은 기술용어로서 자리를 확고히 잡은 것 같습니다
순응과 역행은 탁구 기술에 있어 굉장히 중요한 부분임에 불구 하고
그리고 자신도 모르게 같은 동작을 실행하면서도 순응인지 역행인지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가 전부였다 해도 과언이 아닐겁니다
어렵게 누가 가르쳐 준것도없이
상/하/우/좌 회전 눈으로 생각으로 연구하다
몸으로 한참을 익히고….
거기에서 끝 입니다
회전에 대한 것은 내가 상대에게 써먹는 선에서 열심히 연습 합니다
그러기를 한참 많은 시간이 흐른뒤 자신도 모르게 특정 회전에
대해 반응을 합니다
즉 상대가 보낸 공에 대해서 내가 받아넘기는 방법…
정확한 이론에 대한 안내와 이론에 부합되는
기술 구사를 교육하고 연습 시키지도 않았는데 말입니다
.
누가 가르쳐 준 것이 없다보니…..
이를 몸으로 익히고 사용하기까지에는 많은 노력과
시간 엄청 들어갑니다
그러니 숏트로 넘겨온 볼 드라이브로 넘기는 방법과
컷트로 넘겨온 공 드라이브 거는 방법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도 모르고
무조건 몸으로 힘으로…
젖 먹던 힘까지 다 쓰다보니
피멍이 들고 어깨가 아프고 ………..
한참 고생 하게 됩니다
시합장에서 보면 감독님이 모처럼 나오셔서
자기편 선수에게 지시를 하네요
‘이봐! 위에서 제대로 눌러줘야 정확한 처리가 되니까 명심 해라`
`아래서 치고 올라갈 때 잽싸게 끌어 올려야 되 알겠나!…….`
이 두 표현은 역행처리와 순응처리에 대한 지시 입니다
선수 무슨 말인지 예! 예! 하고 나가기는 하는데
왠지는 모르지만 하여튼 느낌은 알고 시합에 들어 갑니다….만…
순응
드라아브애서만 아니라
서비스 리턴시 순응을 이용한 방법이 구사되면
서비스 리턴에는 80%이상이 역행 처리가 사용 이지만
이는 방어가 아닌 공격형태로 전환되어 상대의 허를 찌르는
중요한 기술로 사용 됩니다
서비스 리턴시 순응 처리는 다음 글 [8]…. 에서
동영상을 통해 안내 드리겠습니다
라켓을 수평으로 들고 공을 툭 툭 튕기다가 라켓을 수평으로 오른쪽으로
살짝 깍으면 공은 좌 회전을 하여 떨어진 공을
수평으로 받으면 좌측으로 공이 튀어 나갑니다.
이때 우측으로 깍아올린 공이 떨어질 때 수평으로 세운 라켓을 우측으로
약간 강하게 깍아서 올리면 공은 바르게 위로 올라갑니다..
이때 [A]의 깍임이 8 이라면
B 의 힘이 8 보다 같거나 작으면
공은 상기 도형의 초록색 공의 방향으로
좌로 튑니다
하지만 10 정도인 깍임이면 공은 바르게 위로 올라갑니다
만약 10 보다 큰힘이 가해 진다면 위로 높이 공이 떠오르게 되기에
8 보다 약간 강하게 힘을 주어야 합니다
중요한 점은 10을 주고 공이 바르게 올라간 후
다시 공이 아래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는 10 보다 조금 더큰 힘을 주어야 위로 올라가게 됩니다
즉 팽이 원리로서 깍임이 더해질수록 회전량은 커지는 원리..
8의 깍임을 이기기 위해 10을 주게 되면 그 회전력은 10으로 변 합니다
이어서 10으로 변한 힘을 이기기 위해서는 10보다 큰 힘이 작용 되어야 하는데
이를 팽이돌리기 원리라 말합니다
쉽게 설명 하자면 계속 깍아 올리려면
공의 회전이 강해져 약간씩 오른쪽으로 깍는
힘이 점점 더 많아 져야 위로 올라 갑니다
즉 순응은 공이 회전 하는 방향으로 회전을 주는 것입니다
회전을 주되 이를 이기기 위해 회전 하는 힘보다 더 큰 힘이 가해져야 한다.
이것이 순응의 원리입니다...
.
그러면 하회전 볼을 받아 넘기는 흔히 볼수 있는 드라이브는
순응 일까요?
아니면 역행 일까요?
이것이 드라이브의 숨겨진 비밀의 열쇠가 됩니다
상기 그림을 보시면 A 에서 깍은 공은 하회전을 가지고
D 로 넘어옵니다 D 에서 튀어 오른 공을 B 에서 곡선을 그리고
위로 감아 올리면 공은 C 로 가게 되는데....
B 에서의 회전과 감아 올리는 방향을 보면 순응이라는 것을 알수가 있습니다
대부분이 일반적으로 하고 있는 드라이브는
순응 드라이브 입니다
제가 오핑 ../기술이야기
2008/10/16 논 글루잉 시대의 벽을 넘자면…(1:현상/수집/정리).‥
2008/11/21 논 글루잉 시대의 벽을 넘자면…(2:확인/분석/대책).‥
에 올린내용 보면 알겠지만
롱 컷트 전문 수비수가 논 스피드 글루잉시대에는 유리 할 것이다 라고
했습니다
컷트 볼 드라이브는 순응 처리 입니다
팽이 원리에 대응하기 위해 점점 더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어야 하는데
러버는 한계가 있고 힘은 빠지고…….
컷트는 점점 더 깍여서 들어오고 ……
이해가 될겁니다………..
순응에 관련된 글입니다 만
다음에 이어지는 역행안내에 도움을 주고자
순응과 역행 관련 동영상 올려 봅니다
예전에 찍은 영상 인데 편집 과정 거치지 않았습니다
이해 하시고 보세요 ……………………….
동영상 ..
'탁구교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드라이브를 못 거는 단 하나의 이유 (0) | 2010.02.13 |
---|---|
[스크랩] [기본기술] 기본원리[역행처리]. (0) | 2010.02.13 |
[스크랩] 서비스 규정의 이해 (0) | 2010.02.13 |
[스크랩] [탁구용품의 기본지식] (3) 평면러버와 돌출러버의 종류 (0) | 2010.02.13 |
[스크랩] [탁구용품의 기본지식] (2) 러버(rubber)란 무엇인가? (0) | 2010.02.13 |